티스토리 뷰

학예사 2급 자격증 취득 방법 총정리

영스보이 2025. 3. 25. 15:28

목차

    박물관, 미술관, 문화재 관련 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학예사 2급 자격증은 필수에 가깝습니다. 특히 2024년 제도 개편으로 혼란이 생기며, ‘학사만 있으면 2급 바로 취득 가능하다’는 정보도 돌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학예사 2급 자격증을 정확하게 취득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개편 내용을 짚어보겠습니다.

     


    1. 관련 전공 학위만 있으면 학예사 2급 가능? 오해와 진실

    ‘관련 전공 학사 학위만 있으면 학예사 2급을 바로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으신가요? 이는 오해에서 비롯된 이야기입니다.

    2024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는 학예사 제도를 개편했지만, 단순히 ‘학위 소지 = 2급 자격’은 아닙니다.
    실제 자격 취득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합니다.

    • 관련 전공 학사 학위 소지자는 ‘준학예사’ 자격을 자동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이후 일정 기간 관련 기관에서 실무 경력을 쌓아야 학예사 2급 취득 자격이 생깁니다.
    • 실무 경력 기준은 1년 이상(전일제 기준)입니다.

    즉, 학위만으로는 2급 학예사 자격을 받을 수 없습니다. 다만 제도 개편으로 인해 '준학예사' 단계까지는 수월해졌습니다.


    2. 2024년 개편된 학예사 자격 제도, 핵심 요약

    2024년 개편으로 바뀐 학예사 2급 자격증 관련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기존에는 '학예사 3급 → 실무 경력 → 2급' 순으로 단계적 자격 취득이 필요했습니다.
    • 2024년 개편 이후에는 '준학예사 인정 → 실무 경력 → 2급 신청' 방식으로 완화되었습니다.
    • 관련 학과는 사학, 고고학, 미술사학, 박물관학, 문화재학 등입니다.
    • 관련 전공 학사 학위가 있는 경우, 별도의 시험 없이 준학예사 자격이 자동 부여됩니다.

    이 개편의 핵심은 현장 인력 수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실용적 변화라는 데 있습니다.
    단, 여전히 실무 경력 없이 학예사 2급을 직접 받는 건 불가능합니다.


    3. 학예사 2급, 어떻게 취득하나요? 단계별 정리

    학예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하는 구체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순서를 따라야 혼란 없이 준비할 수 있습니다.

    ① 관련 전공 학위 취득

    • 사학, 고고학, 미술사학, 문화재학 등 관련 학과 졸업
    • 이수 학점 기준 충족 시 ‘준학예사’ 자격 자동 부여

    ② 실무 경력 확보

    • 국공립 박물관, 사립 등록 박물관 등에서 1년 이상 전일제 근무
    • 근무 확인서 등 관련 서류 증빙 필요

    ③ 학예사 2급 자격 신청

    •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박물관협회 등에 신청
    • 자격 검토 후 최종 승인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실무 경력이 단순 아르바이트가 아니라 전일제 기준이라는 점입니다. 실습생이나 단기 계약직은 인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마무리글

    2024년 개편된 제도 덕분에 학예사 2급 자격 취득의 문턱은 낮아졌지만, 여전히 실무 경력이라는 중요한 요건은 남아있습니다. 인터넷상에 떠도는 ‘학사만 있으면 2급 취득 가능’이라는 정보는 오해의 소지가 큽니다.

    학예사 2급 자격증은 단순한 종이 한 장이 아닌, 문화유산을 다루는 전문가로서의 첫걸음입니다. 정확한 절차를 알고 준비한다면, 박물관이나 문화 관련 기관 취업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